카테고리 없음
부가세, 종소세 헷갈릴 땐 이 글 하나로 끝! (2025 기준)
엘리222
2025. 8. 23. 01:00
“부가세랑 종합소득세가 뭐가 달라요?”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로 처음 사업을 시작하면 가장 많이 듣는 질문입니다.
두 세금 모두 사업과 관련 있지만 성격, 계산 방법, 신고 시기가 전혀 다릅니다.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부가세와 종소세의 차이를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
✅ 부가세와 종합소득세, 무엇이 다른가요?
항목 | 부가가치세 (부가세) | 종합소득세 (종소세) |
---|---|---|
세금 대상 | 상품·서비스 판매 시 부과된 세금 | 1년 동안 발생한 모든 소득 |
납세 의무자 | 사업자 등록된 개인·법인 | 소득 있는 개인 (자영업자, 프리랜서 포함) |
세율 | 10% (간이과세자: 업종별 차등) | 6~45% (누진세율 적용) |
신고 시기 | 1월, 7월 (일반과세자 기준) | 5월 (매년 1회) |
신고 방식 | 홈택스 부가가치세 정기신고 |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|
납부 방식 | 매출세액 – 매입세액 | 소득 – 경비 – 공제 = 과세표준 |
요약: 부가세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거래에 붙는 세금, 종소세는 개인의 연간 소득 전체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✅ 부가세 신고 핵심 (2025)
- 신고 대상: 일반과세자 (연 2회), 간이과세자 (연 1회)
- 신고 기간:
- 1기 확정: 7월 1일 ~ 7월 25일
- 2기 확정: 다음 해 1월 1일 ~ 1월 25일
- 신고 방법: 홈택스 → [부가가치세] → [정기신고]
- 계산 방식: 매출세액 – 매입세액 = 납부세액
- 주의사항: 전자세금계산서 의무 여부 확인 (간이과세자도 일부 대상)
✅ 종합소득세 신고 핵심 (2025)
- 신고 대상: 2024년 소득 있는 모든 개인사업자
- 신고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- 신고 방법: 홈택스 → [종합소득세] → [정기신고]
- 계산 방식: 총수입 – 필요경비 – 공제 = 과세표준 → 세율 적용
- 공제 항목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노란우산공제, 기부금, 교육비 등
✅ 실전 예시로 이해하기
예시: 디자인 프리랜서 A씨 (2024년 기준)
- 매출: 6,000만 원
- 부가세: 600만 원 (10%) 부과 → 매입세액 300만 원 → 납부세액 = 300만 원
- 종소세: 매출 6,000만 원 – 경비 2,000만 원 = 소득 4,000만 원 → 세율 적용 후 납부
이처럼 부가세는 거래 단위 세금, 종소세는 소득 단위 세금입니다.
✅ 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. 두 세금은 각각 따로 신고해야 하나요?
A. 네, 각각 별도로 신고해야 하며 신고 시기도 다릅니다. - Q. 부가세를 신고했는데 종소세는 안 해도 되나요?
A. 아니요. 종소세는 연간 소득에 대한 세금으로, 반드시 별도 신고해야 합니다. - Q. 홈택스에서 신고 방법이 어려운데요?
A. 홈택스는 ‘모두채움’, ‘간편신고’ 등 초보자용 기능을 제공합니다.
🔚 마무리
부가세와 종소세는 이름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세금입니다. 신고 시기, 세율, 계산 방식, 제출 서류까지 모두 다르므로 이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헷갈리지 않도록 정리해두시기 바랍니다.
다음 글에서는 홈택스를 통한 부가세/종소세 신고 방법을 각각 예시와 함께 안내해드릴 예정입니다. 북마크 해두시고 세금 신고 기간 전에 꼭 다시 확인해보세요!